태양광 발전소 전기 안전관리자 선임기준 확인하기 (2025년)📌
본문 바로가기
도움되는 정보

태양광 발전소 전기 안전관리자 선임기준 확인하기 (2025년)📌

by IT 인사이트 랩 2025. 7. 19.
반응형

태양광 발전소 전기 안전관리자는 발전소 설비의 안전을 책임지는 핵심 인력으로, 전기안전관리법에 따라 일정 요건을 만족하는 설비에 대해 반드시 선임해야 합니다.

 

 

전기 안전관리자 선임신고하기

 

 

 

📚 전기안전관리자 선임 근거 및 목적

 

법적 근거: 전기안전관리법 제22조 및 시행규칙 제25조

 

목적: 전기설비의 안전한 시공·운용을 위해 자격 있는 관리자를 지정하도록 의무화

 

 

 

⚠️ 태양광발전소 전기안전관리자 선임 대상 기준

 

설비 종류 설비 용량 전기안전관리자 선임 여부
태양광 발전설비 (저압) 20kW 이하 ❌ 선임 의무 없음
태양광 발전설비 (저압) 20kW 초과 ✅ 선임 의무 있음
태양광 발전설비 (고압) 모든 용량 ✅ 선임 의무 있음

 

 

TIP: 20kW 이하 소규모 태양광 설비는 전기안전관리자 선임 대상이 아니므로 초기 설치 및 운영비 절감이 가능해요.

 

태양광 발전소 전기 안전관리자 선임기준1

 

 

 

*원격감시 기능

 

원격감시 기능은 아래의 '태양광 발전설비 원격감시 및 제어 시스템 설치 및 운영기준' 조건을 맞추어야만 인정되오니

 

 

1,000kW 이상~3,000kW 미만 설비를 전기안전관리자 대행으로 진행하면 아래의 첨부파일 내용을 반드시 확인해주세요!

 

 

태양광 발전설비 원격감시 및 제어 시스템 설치 및 운영기준.hwp
0.10MB

 

 

 

 

 

 

🕒 전기안전관리자 선임 시기 및 신고 방법 (2025년 기준)

 

태양광 발전소의 전기안전관리자 선임은 전기안전관리법에 따라 정해진 시기와 절차에 따라 의무적으로 진행되어야 합니다.

 

 

📌 전기안전관리자 선임 시기

 

⚠️ 반드시 '사용전검사 신청 이전'에 전기안전관리자를 선임해야 합니다.

 

사용전검사란? → 한국전기안전공사에서 발전소에 전기를 공급하기 전에 시설의 전기적 안정성을 점검하는 절차입니다.

 

📅 즉, 공사 완료 직후~검사 신청 전까지 전기안전관리자를 먼저 지정해야 함.

 

 

 

📌 전기안전관리자 선임 신고 기한

 

🕓 전기안전관리자를 선임한 날짜로부터 30일 이내 반드시 신고해야 합니다.

 

이 기한 내에 미신고 시 과태료 부과 또는 사용전검사 반려 등의 불이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

 

 

📌 신고 대상 및 예외

 

✅ 20kW 초과 태양광 발전소는 전기안전관리자 선임 및 신고 의무 있음

 

❌ 20kW 이하 소규모 태양광 발전소는 신고 및 선임 의무 없음 (단, 자가 안전관리 필요)

 

 

 

📌 전기안전관리자 신고 방법

 

 

🔎 지역 관할 한국전기기술인협회 지부에 직접 방문 또는 온라인 접수

 

 

전기 안전관리자 선임신고하기

 

 

📁 제출 서류 준비:

 

- 전기안전관리자 선임신고서

- 사업자등록증 또는 주민등록등본

- 발전설비 도면 또는 준공서류

- 전기안전관리자 자격증 사본 (또는 대행 계약서)

 

태양광 발전소 전기 안전관리자 선임기준2
태양광 발전소 전기 안전관리자 선임기준3

 

 

📤 접수 완료 후 수일 내 확인증 발급

 

 

📍 신고 기관 정보

 

📌 한국전기기술인협회 (https://www.kea.kr)

 

📞 대표번호: 02-3219-1551

 

📍 주소: 서울시 송파구 중대로 135 한국전기기술인협회 본관

 

🌐 지역별 지부: 전국 13개 시·도 회 운영

 

 

 

✅ 태양광 사업자는 반드시 전기안전관리자 선임 → 30일 이내 신고 → 사용전검사 순서를 지켜야 허가 취소나 불이익 없이 전력 판매를 정상적으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.

 

 

📈 전기안전관리 대행 가능 용량 (원격감시 기준)

 

원격감시 시스템이 설치된 경우, 용량에 따라 전기안전관리자 대행 계약도 가능합니다.

 

설비 용량 대행 가능 여부
1,000kW 미만 ✅ 무조건 대행 가능
1,000kW 이상 ~ 3,000kW 미만 ✅ 원격감시 기능을 갖춘 경우 대행 가능
3,000kW 이상 ❌ 자체 상주 전기안전관리자 필수

 

 

🛠 용량별 점검 주기 및 횟수

 

태양광 발전소는 용량에 따라 전기안전관리자의 점검 주기와 횟수가 다릅니다.

 

용량 구간 월 점검 횟수 점검 간격
1kW ~ 300kW 1회 20일 이내
300kW ~ 500kW 2회 10일 이내
500kW ~ 700kW 3회 7일 이내
700kW ~ 1,500kW 4회 5일 이내
1,500kW ~ 2,000kW 5회 4일 이내
2,000kW ~ 4,500kW 6회 3일 이내

 

 

 

📑 전기안전관리 대행 계약 시 참고사항

 

  • 한국전기안전공사 또는 민간 전기안전관리 전문 업체와 계약 가능
  • 대행 비용은 용량 및 점검 횟수에 따라 차등 적용
  • 계약 전 반드시 기술력 및 대응 역량 확인 필수!

 

 

✅ 결론: 태양광 발전소 운영 시 안전관리자는 필수

 

20kW를 초과하는 태양광 발전소를 운영하려면 전기안전관리자 선임이 법적으로 의무이며, 설비 용량에 따라 직접 선임 또는 대행 계약으로 대응할 수 있습니다.

 

 

적절한 선임 여부는 설치 초기 단계에서 반드시 확인하고, 장기적인 유지관리와 비용 부담을 고려한 결정을 내리는 것이 중요합니다.

 

 

💡 참고: 자세한 내용은 한국전기안전공사 홈페이지에서도 확인 가능합니다.

 

 

 

 

태양광 발전소 전기 안전관리자 선임기준 썸네일

 

 

 

 

 

 

1등급 가전제품 환급대상 신청조건 (2025 정부지원 최대 30만원)

고효율 가전제품으로 전기세도 절약하고, 구매금액 일부를 환급받는 방법이 있다는 거 아시나요? 🧾바로 1등급 가전제품 환급대상에 해당될 경우 받을 수 있는 정부지원금 제도입니다.2025년 하

techwalks.tjswkdjaak.com

 

반응형